본문 바로가기
What I Learned/Network

네트워크 관리사 2급 실기 정리 - 리눅스(Linux)

by 단풍국범생이 2019. 6. 26.

리눅스 부팅절차

1. BIOS 실행

2. GRUB 실행

3. Init 프로세서 실행

4. /etc/rc.d/rc.sysinit 실행

5. 부팅 레벨별 스크립트 실행

6. 매직키 설정

7. 시스템 전원공급 설정

8. 가상 콘솔 실행

9. 로그인 프롬프트

 

리눅스 시스템 종료와 재부팅 명령어

1. shutdown [옵션][시간][메시지]

[옵션] -r: 시스템 재부팅

-h: 셧다운 시 halt 작업 실행

-c: 예약되어 있는 shutdown 작업 취소

-t n: 경고 메시지 보낸 후 n초 후에 kill 시그널 전송

 

2. halt [옵션]

[옵션] -f: 강제 종료

 

3. reboot [옵션]

[옵션] -f: 강제 재부팅

 

4. init 런레벨

init 0: 시스템 종료

init 6: 시스템 재부팅

 

리눅스 디렉토리

/root root 디렉토리
/dev 리눅스 시스템의 모든 장치들이 파일로 표시
/boot 시스템이 부팅될 때 부팅 가능한 커널 이미지 파일 위치
/home 사용자 계정이 위치하는 파티션
/usr 사용자가 사용하는 프로그램이 설치되는 디렉토리
/bin 바이너리나 실행파일의 기본적인 프로그램 위치
/etc 시스템 설정 파일이나 계정 정보 저장
/lib 공유 라이브러리 이미지와 프로그램 공유코드부분 저장
/mnt 파일 시스템을 일시적으로 마운트 할 때 사용
/proc 커널이 마운트 된 디렉토리로 동작중인 커널이 디렉토리 형태로 접근하며, 디렉토리 내용을 편집하면 메모리에 운영중인 커널 기능을 제어가능
/sbin 시스템 관리용 프로그램 저장
/tmp 임시파일을 저장
/var 로그파일이나 스풀파일이 저장

 

/etc 디렉토리

/etc/fstab 리눅스 시스템 부팅시에 처리되는 마운트 정보 포함
/etc/passwd 리눅스 사용자들의 계정 정보와 패스워드, 사용 쉘 및 홈 디렉토리 정보 가짐
/etc/shadow 패스워드 정보가 암호화된 파일
/etc/group 사용자 그룹에 대한 정보 포함
/etc/cron.* 시스템에 주기적인 스케줄링을 하고자 할 때 cron 데몬을 이용하는데 관련된 파일이 위치
/etc/xinetd.d xinetd 데몬에 의해 동작하는 서비스 데몬들의 설정파일이 포함
/etc/init.d 리눅스 시스템 부팅시 실행되는 프로그램과 시스템 종료시 동작 중인 프로그램을 중단시키는 스크립트가 존재
/etc/skel 사용자 계정 생성시 useradd 명령 사용 이때, 각 계정의 홈에 환경파일이 생성되는데 필요한 파일이 존재
/etc/services 포트/프로토콜의 정보

 

권한 설정 명령어

chmod [옵션]

-c: 변경된 파일만 자세히 보여줌

-f: 변경되지 않은 파일에 대해 오류메시지를 보여주지 않음

-v: 작업상태를 자세히 보여줌

 

인터페이스 관련 명령어

ifconfig [인터페이스][ip주소][up/down][옵션]

up/down: 네트워크 활성화/비활성화 시킴

option: 넷 마스크, 브로드캐스트 설정

--> 설정된 모든 이더넷 카드의 ip설정표시

 

특정 호스트 또는 연결된 노드를 알아보는 명령어

traceroute [주소]

[주소]에 접속하기 위해 걸쳐야 할 경로들을 차례대로 나열

 

호스트 컴퓨터가 TCP/IP 네트워크 및 네트워크 리소스에 연결가능 확인

ping [주소]

 

시스템에 연결된 접속상태와 열린 포트 목록을 확인

netstat

--> 프로토콜, 로컬주소, 외부주소, 상태 출력함

 

라우팅 테이블을 확인하거나 수정하는 명령어

route

--> 네트워크 대상, 네트워크 마스크,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 매트릭(어딜 거쳐서 가는지)

 

기타명령어

top 메모리 상태 보여주기
man x x에 관한 메뉴얼 페이지 열기
find 특정 파일을 검색하는 명령어
finger 특정 사용자의 정보를 출력
nslookup 네임서버에 도메인 이름이나 ip를 조회하는 명령
touch 파일생성, 엑세스한 시간 변경
wall Telnet이나 콘솔로 로그인된 모든 사용자에게 메시지 전송
who 현재 접속된 사용자와 프로세스 상태 확인
which 파일이 어떤 디렉토리에 있는지 표시
cp 다른 파일이나 디렉토리로 복사
mv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옮기거나 이름변경
mkdir/rmdir/cd 디렉토리 생성/삭제/변경
df 현재 설치된 하드디스크와 용량 확인

 

 

 

 

아이비구육닷컴, 정훈희 저, 네트워크 관리사 2급 실기 자격증 종합 과정 참고